작성일 : 20-02-11 19:42
우리가 생각하는 '가치'의 의미는 무엇일까?
 글쓴이 : 이동윤
조회 : 5,688  
자기 자신의 주관적인 욕구나 감정이나 의지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어떤 것이 있다면 그것이 바로 가치라고 할 수 있다. 즉 사람들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어떤 바람직하거나 인간의 지적, 감정적, 의지적인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대상이나 그 대상이 나타내는 성질'을 가치라고 표현한다.
 
가치라는 것이 경험할 수 있는 사물로부터 유래된 것인가, 혹은 개인의 감정이 사물에 가치를 부여하는 것인가 하는 문제는 객관적이고 공적인 가치인가? 주관적이고 사적인 가치인가에 따라 달라진다.
 
집이나 가구처럼 어떤 대상에 대해 사적인 가치를 가졌다면 다른 사람들이 그 대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의사회 학술대회나 마라톤 대회 조직위원회에서 참가비를 결정하고 공지를 한 행위도 일종의 사적인 가치로 볼 수 있다.
 
조직위의 입장에서는 다른 사람들이 얼마나 가치있게 생각하는가와는 상관없이 조직위원회에서 생각하는 사적인 욕구가 가지는 가치가 결정되는 것이다. 당일날 참가한 모든 사람들이 학술대회의 강의 주제와 내용이나 마라톤 대회의 코스나 운영에 대해 부여하는 가치가 표현된다면 그제서야 공적인 가치를 가지게 된다.
 
신종코로나감염증이라는 불의의 골치아픈 전염성 질환이라는 악재가 나타났는데, 무시하고 대회를 개최해야 할까? 무사히 대회가 치뤄질 가능성과 전염성 질환을 매개할 수 있는 가능성의 확률의 합은 1이다.
 
두 확률의 함이 1이 되는 순간이란, 계획대로 개최하는 것과 보다 안전한 시기로 미루는 것의 합이 1이 되는 순간 사이에는 우열이 존재하지 않는다. 두 의사 선택의 성공 확률은 정확하게 똑같다는 말이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이런 가정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닐 것이다.
 
시도해보지도 못하고 실패하는 것보다는 실패하더라도 시도는 해보는 것이 더 나은 상황이 가끔 있으며, 예전 서부극에서의 황야의 결투처럼 먼저 총을 뽑는 사람이 이길 확률이 더 높은 것이 좋은 예다.  선취게임이 소모전보다 더 유리할 수 있다.